티스토리 뷰
2025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총정리🔥 아직 신청 안 하셨다면 꼭 읽어보세요!
안녕하세요 😊
“나는 재산이 있어서 기초연금 못 받을 것 같아…” 하며 신청을 포기하고 계신 분들 많으시죠?
사실 많은 분들이 자격이 되는데도 오해로 인해 신청조차 안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답니다.
오늘은 기초연금의 수급자격부터 신청방법, 수령액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1. 기초연금 수급자격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을 위해 정부가 매월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국민연금과 별도로 운영되며, 두 가지 모두 받을 수 있어요.
- 만 65세 이상 (예: 1960년생이면 2025년부터 가능)
- 대한민국 국적 + 국내 거주
-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일 것
2. 소득 및 재산 기준
소득인정액이란 소득 + 재산을 계산해서 수급 가능성을 따지는 기준입니다.
- 단독가구: 월 228만 원 이하
- 부부가구: 월 364만 8천 원 이하
💡 재산 공제 기준
서울: 1억 3,500만 원 / 중소도시: 8,500만 원 / 농어촌: 7,250만 원
서울: 1억 3,500만 원 / 중소도시: 8,500만 원 / 농어촌: 7,250만 원
금융재산은 2,000만 원까지 공제, 근로소득은 월 112만 원까지 전액 공제되고 초과분의 30%만 인정됩니다.
3. 받을 수 있는 금액
- 단독가구: 최대 월 342,510원
- 부부가구: 각 267,848원 (20% 감액 적용)
국민연금 수급액이 많을 경우 기초연금은 일부 감액될 수 있으나, 두 개를 병행 수령 가능합니다.
4. 신청 방법
자동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꼭 신청해야 해요. 신청 가능한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
- 국민연금공단 지사
- 복지로 홈페이지 (www.bokjiro.go.kr)
필요한 서류:
- 신분증
- 통장 사본
-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(현장 작성)
- 대리 신청 시 위임장, 대리인 신분증
5. 수급희망 이력관리제 활용!
처음에 탈락하셨어도 ‘수급희망 이력관리제’에 등록해두면, 조건이 바뀔 때 국민연금공단에서 먼저 연락을 드립니다. 꼭 등록하세요!
마무리 인사
지금까지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및 신청 방법을 정리해봤어요 😊
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해당되고, 재산이 좀 있다고 해도 충분히 가능성 있음을 꼭 기억해주세요!
부모님이나 지인 중 해당되실 분들께도 꼭 알려드리세요.
반응형